동영상으로 보기~!
호주에 이민갈 생각이 있다면 알아둬야 할 팁들!
오늘은 호주에 이민 생각이 있으신 분들이 알아두시면 좋을 만한 것들을 한번 찾아보았습니다.
-주택-
타지에 가면 살 집이 반드시 필요하겠죠? 호주 영주권자나 시민권자가 되어 호주 첫 집을 장만할 때 호주 정부에서 1200만 원 정도를 지원해준다고 합니다. 다만 구매하는 집이 새로 지어진 집이어야 하며, 약 6억 이하의 집을 구매할 때만 지원받을 수 있다고 하네요. 부부가 1회 신청할 수 있는 지원금이기 때문에 만약 배우자가 지원받은 이력이 있다면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자녀-
이민시 가장 고려해볼 것은 역시 자녀의 교육 문제입니다. 영주권을 취득했다면 자녀들을 호주의 공립 초, 중, 고등학교에 보낼 시 학비가 무료라고 하는데요, 2017년부터 영주권자 복지혜택을 줄이고 시민권자들에게만 혜택을 줘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많은 영주권자 분들이 걱정을 했다고 하는데요, 만약 법이 바뀌어 자녀들이 복지혜택을 받지 못하고 유학생의 신분으로 호주에서 공부하게 된다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비가 인당 연 천 만원 이상이며, 고학년으로 갈수록 점점 비싸진다고 합니다. 호주도 공부 잘하는 학교, 못하는 학교 편차가 심하기 때문에 많은 한국사람들은 자녀들을 사립학교에 보내는데요, 사립의 경우 2천만 원도 들 수 있다고 하네요. 아이들이 한국처럼 학원을 다니진 않지만 한국 가정에선 아이들 과외를 시키는 집이 많다는데, 인건비 비싼 나라이니 과외비 또한 싸진 않겠죠? 시민권의 경우 호주에 거주한지 4년 이상, 영주권을 얻은 후 1년이 지나야 신청할 수 있기 때문에, 자녀들과 함께 호주 이민을 생각하신다면 꼭 살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부모님-
외국에서 산다면, 고국에 계신 부모님 생각이 날 수 밖에 없죠. 더군다나 부모님 연세가 드실수록 부모님을 모셔야겠다는 생각이 드실 텐데요, 다행히 호주 영주권자가 된다면 부모님을 호주로 초청하실 수 있다고 합니다. 부모님 초청에는 일반 부모 초청, 기여제 부모 초청 2가지 방법이 있다고 하는데요, 일반 초청을 신청할 시, 10년 정도 기다려야 하는 반면, 기여제 초청은 3년 정도만 기다리면 된다고 합니다. 다만 기여제 초청은 부모 한 분당 3500만원의 기부금을 내야지 신청할 수 있다고 하네요. 또한 호주에 오신 후 10년이 지나야지만 호주노인연금을 수령할 수 있다고 합니다. 2019년 7월 1일부턴 부모님 임시 초청 비자가 새로이 나온다고 하는데, 3년짜리 비자가 410만원, 5년 짜리 비자가 820만원이라고 합니다. 다만 부모님을 초청하는 신청자 부부의 소득이 7000만원 이상이어야 신청 가능하다고 하네요. 호주는 비자장사가 참 짭짤하겠네요.
-기타 팁들-
호주하면 좋은 근무환경을 가진 곳이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호주의 최저시급은 15000원 정도이며, 연차는 일년에 4주, 대충 13일에 연차 1일이 쌓이고, 우리나라와 같은 퇴직금 제도는 없고 연금제도가 존재하는데, 월급의 9.5%를 회사측에서 내며 근로자 부담은 없습니다. 소득세는 연봉 약 1500만원 이상부터 19% 적용되는 것을 시작으로 1억 5000만원 이상부터 최고 세율 적용되어 건강보험 포함 47% 적용됩니다. 거주하는 집에 대한 재산세는 면제되며 상속세가 없고, 또한 대부분의 사업자 분들에게 해당될 법인세는 27.5%이며 추후 25%까지 감세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 세율은 매출 연 82억 미만 업체에 해당합니다.
호주는 살벌한 벌금으로 유명한데요, 경우에 따라 액수가 상이하겠지만 신호위반시 최소 30만원 이상의 벌금을 내야하며 지정속도10km만 과속해도 10만원 이상, 45km 과속시 200만원, 아이들 학교 주변에서 교통법규 위반 시 더욱 살벌한 벌금을 무는 곳입니다. 안전운전 하셔야겠죠?
마지막으로 제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호주의 물가를 얘기해보자면, 생필품, 통신비, 커피값이 싸고 전자제품, 가구 등이 비싸단 느낌을 받았는데요 특히 차량 가격에서 많이 놀랐습니다. 고가 차량으로 갈수록 가격이 더 비싼 것 같은데 한국에서 인기가 많은 외제차 벤츠 E300의 경우 1억 정도인 것을 보고 깜짝 놀랐는데요. 그래서 거리에 경차들도 많고 노후 된 차량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담뱃값도 한국에 5배가 넘으니 흡연자 분들은 이점도 고려하셔야겠습니다.
오늘 영상을 만들면서 편의를 위해 금액들을 한화로 적었는데, 환율변동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있다는 점 말씀드리면서 오늘 포스팅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코브스 유튜브 채널 구독하시고 더욱 많은 영상 만나보세요 ~
'코브스 유튜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퀄컴 인텔의 화웨이 공격! 이게 무슨 회사들인지 무슨 일인지 간단히 보기 (0) | 2019.05.21 |
---|---|
최고의 시계 브랜드, 파텍 필립의 역사! 추성훈, 오가나도 선택한 그 시계 (0) | 2019.05.20 |
일본 최대 온라인 쇼핑몰의 야심작 '조조슈트' 망했단 소식 (0) | 2019.05.10 |
2019년 대박 아메리칸 드림을 이룬 중국인 에릭 위안! 그는 누구인가 (줌 창업자) (0) | 2019.05.10 |
북한 1400억어치 식량지원 필요하단 소식, 여러분은 대북지원 동의하시나요? (0) | 2019.05.05 |